이통사, VR콘텐츠·기기 선점경쟁 ‘후끈’
SKT, 버추얼 소셜 월드+오큘러스
VS KT, 슈퍼 VR+슈퍼 G2 맞대결
SKT와 KT가 5G시대를 맞아 킬러콘텐츠와 이를 즐기기 위한 전용 VR기기 출시로 VR선점 경쟁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SKT는 지난달 19일 VR소셜서비스 ‘버추얼 소셜 월드’를 론칭하고, 독립형 VR기기(HMD) ‘오큘러스 고(Go)’를 출시했다. 버추얼 소셜 월드는 다수의 VR이용자들이 ‘가상 세계’에서 커뮤니티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들과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서비스다.
특히 SKT는 페이스북 자회사 오큘러스의 VR기기 ‘오큘러스 Go’를 자사 유통망을 통해 국내에 정식 판매한다. 아울러, VR기기·콘텐츠를 올인원으로 묶은 ‘오큘러스Go VR팩’도 출시한다. 이외에도 SKT는 카카오프렌즈 IP를 활용한 VR게임 ‘프렌즈 VR월드’, 넥슨의 인기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신규 VR 게임을 준비하는 등 VR서비스 대공세에 나서고 있다.
SKT의 버추얼 소셜 월드는 오큘러스나 기어VR을 가지고 있는 고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오큘러스 스토어 내 ‘점프 VR’ 앱을 통해 이용 가능하다. 이용자들은 버추얼 소셜 월드에서 분신 역할을 하는 아바타의 머리 스타일, 눈코입, 복장 등을 꾸미고 개인 공간인 마이룸에서 VR영화를 보거나 동물을 키울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용자와는 마이룸 외 7개 테마의 가상공간에서 만날 수 있고, 이용자들은 테마룸에 모여 음성·문자 채팅으로 관심사를 나누며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내년 상반기 다국어 지원을 업데이트하고 글로벌 이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별도의 VR기기 없이 스마트폰으로도 버추얼 소셜 월드에 접속이 가능토록 한다는 방침이다.
KT의 경우 이보다 앞서 VR 환경에서 IPTV를 즐길 수 있는 ‘슈퍼 VR tv’를 출시했다. 180인치 와이드맥스 스크린에서 21만여 편의 VOD를 비롯해 올레tv의 270여개 실시간 채널을 실제 영화관에서 보는 것처럼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슈퍼VR은 피코의 독립형 VR기기 피코(PICO)의 G2단말을 사용한다. 화질 손실 없이 4K UHD 영상 품질을 VR로 그대로 유지하는 등 기술적으로도 총력을 기울였다.
KT 관계자는 “기존 슈퍼 VR은 올레tv 모바일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했으나 이를 IPTV에서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KT 역시 다양한 파트너사와 제휴를 통해 실감미디어 시장의 생태계를 확장하고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멀티엔딩 VR’ 콘텐츠는 영화 기생충을 제작한 바른손이앤에이의 관계사 바른손과의 협력으로 기획됐다. 이밖에 아프리카TV와 협력한 e스포츠 멀티뷰 중계, 네이버 브이라이브(V LIVE)와는 VR 전용 스타 콘텐츠, 이너테인먼트와 만든 아이돌 VR팬미팅 콘텐츠(바스타 라이브VR) 등이 있다.
LGU+도 스마트폰 연계형 VR기기를 내놓은데 이어 독립형 출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LGU+는 내년부터 VR, 증강현실(AR)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를 모바일뿐만 아니라 TV 플랫폼에도 적용할 방침이다.
한편, LGU+는 올해 1만 9000여편까지 전용 콘텐츠를 확대하면서 VR을 접목한 공연영상, 게임, 웹툰 등의 혁신 콘텐츠와 AR을 적용한 엔터테인먼트, 교육, 홈트레이닝 콘텐츠 등의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2019년 12월 4일 동아경제 성창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