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6-01(목)

우크라이나 재건 참여 전략 마련해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6.2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정부, 공적개발원조 지원 적극 검토…해외건설 수주 기대


최근 우크라이나 외교차관이 한국을 방문해 국내 기업들의 재건 참여를 공식 요청하고, 우리 정부도 공적개발원조 지원을 적극 검토하기로 하는 등 해외건설 수주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와 관련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은 지난 ?9~10일(현지시간)?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각료이사회’에 참석해 “한국정부도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등 다자개발은행(MDB)의 우크라이나 지원 프로그램에 한국 신탁기금, 보유액 등을 활용해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거듭 “향후 우크라이나의 대규모 인프라 개발 필요성에 대비해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등 공적개발원조(ODA) 지원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EU는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전략적 중장기 계획인 ‘리빌드 우크라이나(Rebuild Ukraine)’를 발표했다. 이 계획은 우크라이나 정부를 비롯해 EU 및 다른 국제기구와 국가의 지지를 기반으로 우크라이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주요 투자와 개혁을 포함하고 있다. 성공적인 계획의 실행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국제공조가 필요하지만, 우크라이나 재건 계획은 결국 EU가 주도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재건은 최소 10년 이상이 걸릴 뿐만 아니라 막대한 규모의 민간 및 공적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은행은 인프라 등 물리적 피해만 복구하는 데에 최소 600억 유로(80조 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인프라 복구에 최대 1050억 달러(132조 원)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됐던 이라크 사례와 비교해보면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사업은 우리 해외건설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정부는 우크라이나 정부와 협력 강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민관 합동 수주지원단 파견은 물론이고, 유무상 원조 등 통상협력 강화가 필요하다. 

여기에 우리 기업은 국내 기업 간의 협력은 물론이고 EU 지역의 현지 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이나 하도급 계약 등을 통한 수주 전략도 전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2년 6월 24일 동아경제 김정덕 기자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8980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우크라이나 재건 참여 전략 마련해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