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3-24(금)

K-순환경제로 탄소중립 선도 실현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1.1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12.jpg


K-순환 계획수립 등 법 제·개정 참여…순환경제 구현

정 본부장, ‘현장에 답이 있다’며 현장 소리 정책에 반영

 

우리나라 ‘쓰레기 파수꾼’으로 불리는 정재웅(사진) 한국환경공단 자원순환본부장은 올해부터 전국 지자체와 공동으로 탄소중립 허브를 만들어 산업시장의 재활용률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한국자원재생공사에 1995년에 입사해 경영개혁실, 기획조정팀, 미래발전전략팀 등을 거쳐고 2021년 초까지 자원순환본부 자원재활용처장으로 활동하다 지난해 8월 지금의 자리에 올랐다.

 

그는 30년동안 우리나라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해오면서 재활용품 집중수거, 공공기관 경영혁신, 재활용시장 안정화 등의 공로를 세워 대통령상과 환경부장관상을 4번이나 수상한 자원순환 전문가다.

 

특히 2003년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인 EPR(Extended Producer Res ponsibility)를 최초로 개발해 국내 산업현장에 도입시켰다. 100종의 폐기물을 분류해 기업이 생산전 등록하도록 법제화를 시킨 인물이다.

 

EPR는 포장재의 폐기물에 대해 제품 생산자에게 일정량의 재활용의무를 부여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재활용 부과금을 부여하는 제도다. 

 

종전의 소비자가 제품 포장재 처리를 책임졌던 관행을 깨고 생산자가 제품에서 발생된 폐기물의 재활용까지 책임지도록 범위를 확대한 것에 의미가 있다. 현재 포장과 제품군으로 나눠 21여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정 본부장은 “EPR을 시행하면서부터 우리나라 재활용률이 70% 성장했다. 일본과 유럽에서도 EPR을 도입하기 위해 자문하러 온다”며 “올해부터 지자체 ESG경영을 위해 탄소중립 허브를 만들 계획이다. 지자체와 공동으로 현장에 시급한 자원순환 사업들을 개발해 속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2021년 탄소중립을 위한 K-순환경제 시스템을 제시하고 부문별 핵심 추진사업을 시행했다. 정 본부장은 K-순환경제 이행계획과 탈플라스틱 대책을 수립할 때도 기여했다.

 

K-순환경제가 제도화되면서 제조사들이 제품을 만들 때부터 탄소중립 즉 화석 연료를 적게 사용해 재활용이 쉽도록 생산하기 시작했다. 

 

정 본부장은 “폐기물 처리 순서를 사후에서 사전으로 바꾼것이 K-순환경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라벨이 없는 페트병이 생산되고 투명색 용기들로 바뀐 것 등이 이러한 결과물이다.

 

그는 “앞으로 생산자들이 스스로 탄소중립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순환이용성평가를 4단계 기준을 둬 재활용 분담금도 차등화를 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부터는 태양광 패널도 EPR 품목에 포함된다. 정 본부장은 “2025년부터 태양광 폐패널과 전기차 폐배터리가 다량 배출이 될 것”이라며 “재활용 업체에게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임시보관센터를 정읍, 홍성, 청주, 포항 4곳에 만들어놨다”고 말했다.

 

2025년부터 전기차 폐배터리도 8만 개씩 나올것으로 예측해 전해질 검사를 진행, 재활용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해놨다. 2018년 쓰레기 수거 대란시 정 본부장은 재활용시장관리센터를 조성해 전국 재활용 재고량을 신속히 파악, 더 이상의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그는 올해 자원순환 정보를 통합하는 플랫폼을 만들어 생산자를 위한 정보제공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재웅 본부장은 “현장에 답이 있다. 탁상공론만으론 다 알 수가 없다. 페기물을 수거하고 재활용품을 만드는 현장을 찾아가 경청해야 한다. 앞으로도 발로 뛰는 해결사가 되겠다”고 말했다.


/2023년 1월 3일 동아경제 홍상수 기자

태그

전체댓글 0

  • 4534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K-순환경제로 탄소중립 선도 실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